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94)
보물 제871호. 연정계회도 (蓮亭契會圖)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8710000 ) 는 소속이 같은 문인들의 친목도모와 풍류를 즐기기 위한 모임을 그린 계회도이다. 비단바탕에 엷고 산뜻한 채색으로 그린 이 그림은 가로 59㎝, 세로 94㎝ 크기이다. 이 그림은 중단의 계회장면과 더불어 상단의 계회명칭 및 하단에는 참석자들의 이름·본관..
보물 제527호.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수량 1첩(풍속화 25점): 고기잡이, 고누놀이, 그림감상, 기와이기, 길쌈(베짜기), 노중풍경, 나룻배, 논갈이, 담배썰기, 대장간, 무동, 빨래터, 서당, 신행길, 씨름, 우물, 자리짜기, 장터길, 점심, 주막, 타작, 탁발승, 편자박기, 활쏘기, 행상 ▶만난 곳 ▷25점 中 6점: 그림감상, 길쌈, 논갈기, 무동, 씨름, 활쏘기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특별전 '손뼉 치며 감탄하네: 김홍도의 풍속도첩'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특별전 '손뼉 치며 감탄하네: 김홍도의 풍속도첩'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
보물 제1877호.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Ⅰ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8770000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는 신라말 고려초의 고승인 낭공대사(朗空大師) 행적(行寂)〔832(흥덕왕7)~ 916(신덕왕5)〕의 탑비이다. 비문의 찬자는 당대 문장으로 평가받았던 최인연과 대사의 문하법손(門下法孫)인 석순백(釋純白)이다. 또한 문하승인 승려 단목(端目)이 명필 김생의 행서 글씨를 집자하여 승려 숭태, 수규, 청직, 혜초 등이 새겨 954년(광종 5)에 세운 비이다. 이 비는 신라말 고려초의..
보물 제547-1호. 김정희 종가 유물 (金正喜 宗家 遺物) ▶수량 유물(인장 31과, 수정염주, 보리염주, 운룡문단계연, 유명연, 도철문연, 모필 7자루), 유묵(예서대련, 순우장하승비, 을묘칠정, 척독초본, 십삼년정미첩, 사공도시평첩, 상지십년용집협흡, 충술근수교훈묵의헌진장, 소재첩), 서첩(금반첩, 심경첩) ▶만난 곳 ▷유물 中 유명연, 도철문연, 모필 5자루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Ⅰ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유물 中 인장 27과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Ⅱ 상설전시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5470000 ) 김정희 종가 유물..
[책 리뷰] 추억의 기록: 50년 전 내가 만난 한국, 사진 속 순간들 ▶제목 추억의 기록: 50년 전 내가 만난 한국, 사진 속 순간들 ▶저자 마르티나 도이힐러 ▶교보문고 책 소개 추억의 기록 스위스인 며느리의 추억 속에서 빛나는 50년 전 한국... www.kyobobook.co.kr ▶책 리뷰 저자가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에 한국에 살면서 마주한 풍경들을 사진으로 만나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입니다. 당시 한국인들의 생활 모습과 한국 고유의 의례를 만나볼 수 있어 재밌어요. 서울, 경상북도의 어느 농촌, 경주, 목포, 제주도, 울릉도의 옛 도시 풍경은, 다른 나라로 떠나는 공간적인 여행 만큼이나 과거를 둘러보는 시간적인 여행도 신선한 경험을 선사함을 알게 해줍니다. 양주산대놀이, 안택고사, 장례 행렬, 제사, 동제, 이문동 만신의 굿하는 모습은, 지금은 우리 ..
보물 제1857호.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永川 銀海寺 念佛往生捷徑圖)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8570000 )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중생들을 般若龍船에 태우고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장면과 이를 맞이하는 아미타불 일행, 極樂蓮池에서 蓮花化生하는 왕생자, 寶樹와 極樂鳥 등 극락의 장엄한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한 念佛往生捷徑圖이다. 원래 은해사 심검당에 舊藏되었던 것으로 도난 되었다가 최근 회수되었는데, 현재 화기는 남아 있지 않지만 ..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 (銀海寺 掛佛幀)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2700000 )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이 열릴 때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기 위해 만든 대형 불교그림를 말하는데, 이 불화는 거대한 화면에 불을 단독으로 그린 형식으로 비단바탕에 채색되었다. 이 괘불의 불(佛) 좌우로 대칭되게 장..
보물 제1058호.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白磁 靑畵七寶蘭草文 甁)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최영도실박병래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0580000 )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높이 21.1㎝, 아가리 지름 3.6㎝, 밑지름 7.8㎝의 크기이다. 8각의 항아리 몸체 위에 목이 긴 병이 얹혀 있는 일종의 표주박형의 병으로 조선 후기에 새로 나타난 형태이다. 한국적인 익살이 넘치는 이 병은 아래에 모를 깎은 단아한 항아리의 모습과 윗쪽의 유연한 곡선을 지닌 병이 붙어, 곡선과 각이 조화를 이루어 참신한 느낌을 준다. 문양은 밝은 청색 안료를..
보물 제1067호.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粉靑沙器 象嵌蓮花唐草文 甁)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이홍근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0670000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31.7㎝, 아가리 지름 8㎝, 굽 지름 9.9㎝인 항아리로, 목을 지나면서 서서히 팽창되어 몸체 아랫부분에서 팽배되었다가, 다시 좁아져 굽에 이르는 안정감이 돋보인다. 아가리부분은 나팔같이 벌어지고 목부분은 좁다. 전체적으로 두 세줄의 백상감 선을 넣어 그 사이사이에 덩굴무늬, 도식화된 연꽃무늬을 그려 넣었다. 몸통 중앙에는 3곳에 연꽃무늬를 그렸으며, 연꽃은 줄기와 잎이 덩..
보물 제1061호. 백자 철채 뿔잔 (白磁 鐵彩 角杯)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이홍근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0610000 ) 소뿔 모양의 잔으로 뿔 끝을 검은색으로 자연스럽게 채색하여 사실성을 강조한, 길이 17㎝, 아가리 지름 5.3㎝의 뿔잔(각배)이다. 원래 이러한 뿔잔은 삼국시대의 가야, 신라 무덤에서 발견되는 우각형도기배라는 종류의 그릇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 후 고려 시대에도 청자우각형배와 같은 예가 있어서 아주 오래 전부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순백의 바탕흙에 묽은 청색을 띠는 백자유약을 전체에 ..
보물 제112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佛說大報父母恩重經)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1250000 )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줄여서 ‘부모은중경’, ‘은중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부모의 소중한 은혜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얘기한 경전이다. 은중경은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이며, 이 책은 세종 14년(1432)에 태종의 후궁인 명빈 김씨에 의해 간행된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첩장 형태이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3.5㎝, 가로 11.3㎝이다. 일반적인 은중..
보물 제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古代 그리스 靑銅 冑)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9040000 ) 1936년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 경기대회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높이 21.5㎝의 그리스의 청동투구이다. 기원전 6세기경 그리스의 코린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1875년 독일의 고고학자에 의해 올림피아에서 발굴되었다. 형태를 보면 머리에 썼을 때 두 눈과 입이 나오고 콧등에서 코끝까지 가리도록 만들어졌으며, 머리 뒷부분은 목까지 완전히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눈과 입의 노출을 위해..
국보 제145호. 귀면 청동로 (鬼面 靑銅爐)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1450000 ) 귀면청동로는 높이 12.9㎝로 솥 모양의 몸체(훈구부)를 받침부(기대부)가 받치고 있는 모습이며, 몸체에 도깨비 얼굴을 형상화시켜 놓았다. 몸체의 윗부분인 구연부에는 3개의 굴곡진 산형(山形)으로 처리되었고 삼각형 모양이 솟아 있고, 몸체 양 측면에는 각각 2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그 고리에 손잡이 장식을 달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몸체의 아랫부분은 밑으로 가면서 잘록해지..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1층. 중·근세관 조선3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9010700 ) *지정사유 의궤(儀軌)란 ‘의식(儀式)의 궤범(軌範)’이라는 뜻으로 ‘국가전례의 따라야할 기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는 조선왕실에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그 내용을 기록과 그림으로 정리한 대표적인 국가기록물이다. 또한 중국이나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조선만의 독특한 전통으로서 예법을 중시하고 기록을 철저히 보존하려는 조선시대의 우수한 기록문화 중 하나로서 ..
보물 제1581호. 대동여지도 목판 (大東輿地圖 木板) ▶수량 11장(22면) ▶만난 곳 ▷11장 中 3장: 대동여지도 표제 목판, 대동여지도 4층 5판과 6판, 대동여지도 8층 19판과 7층 8판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1층. 중·근세관 조선3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5810000 ) 조선시대 최대, 최고의 과학적 지도로 평가되는 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 목판이며, 현전하는 것으로 알려진 12장의 목판 중 11장이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1장이 있다. 재질은 수령 100년 정도의 피나무로 목판의 앞뒤 양면에 모두 조각이 되어 있다. 목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