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문화재/국보 (77)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보 제22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2020년 10월 20일 불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평창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에 있는 목조문수동자좌상. ▷상원사 문수전 안에 '보물 제181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中 목조문수보살좌상과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목조문수동자좌상 내부에서 발견된 23점의 복장유물은 '보물 제793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복장유물 (culture-uncle.tistory.com/388)'로 지정되었으며 월정사 성보박물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복장유물 중 발원문을 통하여 조선 세조의 둘째 딸 의숙공주 부부가 1466년(세조 12)에 목조문수동자좌상을 만.. 국보 제292호.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平昌 上院寺 重創勸善文)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가능 ※월정사 성보박물관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3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1464년(세조 10) 평창 상원사를 중창하며 작성한 권선문 2첩. ▷권선문(勸善文): 선(善)함을 권(勸)하는 글(文)이라는 의미로, 불교 신자들에게 보시를 청하는 글. ▷표지에 별다른 글씨가 없는 첩 : 권선문을 먼저 적은 뒤 신미, 학열, 학조 등이 수결(手決, 서명) 하였습니다. : 뒤이어 세조가 상원사를 중창하며 여러 물품을 보시한 의미를 적고 자신을 불제자로 칭하는 '佛弟子李瑈佛弟子承天體道烈文英武朝鮮國王李瑈'라는 문구와 함.. 국보 제48-2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平昌 月精寺 石造菩薩坐像)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가능 ※월정사 성보박물관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3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에 있는 '국보 제48-1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culture-uncle.tistory.com/362)'의 남쪽에 무릎을 꿇고 앉아 탑을 향하여 공양을 올리는 자세를 갖추었던 석조보살좌상. ▷석조보살좌상은 이전에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어 있다가 '국보 제48-2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으로 승격되었으며, 보존관리를 위하여 월정사 성보박물관으로 이전되었습니다. 현재 팔각구층석탑 앞에 있는 석조보살좌.. 국보 제48-1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 2020년 10월 20일 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평창군 오대산 월정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 구층석탑 ▷월정사 적광전 앞에 있습니다. ▷8각의 9층 석탑이라는 점도 인상적이지만, 남쪽에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 (culture-uncle.tistory.com/364)이 있어 더욱 인상적입니다. 이러한 모습을 한 예로 '보물 제87호.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江陵 神福寺址 三層石塔)' 앞의 '보물 제84호.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神福寺址 石造菩薩坐像)'이 있습니다. ▷석조보살좌상은 이전에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어 있다가 '국보 제48-2호. .. 국보 제36호.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鍾)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 2020년 10월 20일 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동종 ▷우리나라에 온전하게 남아있는 통일신라 범종 3구 중 하나입니다. ※온전하게 남아 있는 통일신라 범종 3구 1)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2)국보 제36호. 상원사 동종: 오대산 상원사 소장 3)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높이 167cm, 종 입구 지름 90.3cm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종입니다. ▷종 몸체 위아래의 끝부분이 안으로 좁혀져 항아리 같은 모습입니다. .. 국보 제290호.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梁山 通度寺 大雄殿 및 金剛戒壇) ▶만난 날짜 ▷2020년 1월 17일 ▶만난 곳 ▷양산 통도사 ( 관련 정보 ) ▶방문 방법 ▷부산 지하철 2호선 양산역에서 버스로 30여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외부 촬영 가능, 사찰 내부와 성보박물관은 촬영 불가 ▶답사 포인트 ▷불이문을 넘어서며 맞닥뜨리는 대웅전이 참 멋스럽습니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이지만, 통도사 대웅전에는 불상이 없습니다. 대웅전의 북쪽에 자장법사가 당나라에서 가지고 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기에 불상을 따로 두지 않고 큰 불단을 마련해 놓았습니다. ▷대웅전은 정면 3칸에 측면이 5칸이며 정(丁) 자형 지붕입니다. ▷대웅전 동쪽에는 大雄殿(대웅전), 남쪽에는 金剛戒壇(금강계단), 서쪽에는 大方廣殿(대방광전), 북쪽에는 寂滅寶宮(적멸보궁)이라는 현.. 국보 제184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만난 날짜 2020년 1월 16일 ▶만난 곳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 ( 관련 정보 ) ▶방문 방법 대구 지하철 2호선 만촌역에서 버스로 5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곁에 있는 국보 제182호, 국보 제183호 불상들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고 어떤 점이 매력적인지 생각해 봅시다. ▷유려한 장식들을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찬찬히 살펴봅시다. ▷비어 있는 왼손의 본디 모습을 상상해 봅시다. ▶답사 후기 ▷국보 제184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은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에 들어서면 바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오른편에 서 있어요. 국보 제182호와는 인체 비례가 달라 다가오는 느낌이 조금 다릅니다. 국보 제183호가 그러하였듯이, 듬직함은 .. 국보 제183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龜尾 善山邑 金銅菩薩立像) ▶만난 날짜 2020년 1월 16일 ▶만난 곳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 ( 관련 정보 ) ▶방문 방법 대구 지하철 2호선 만촌역에서 버스로 5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곁에 있는 국보 제182호, 국보 제184호 불상들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고 어떤 점이 매력적인지 생각해 봅시다. ▷몸을 따라 내려앉은 옷자락의 굴곡을 관찰해봅시다.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표정인지 상상해 봅시다. ▶답사 후기 ▷국보 제183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은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에 들어서면 바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왼편에 서 있어요. 국보 제182호와는 인체 비례가 달라 다가오는 느낌이 조금 다릅니다. 듬직함은 덜하고 유려함이 더해졌달까요. 걸친 옷가.. 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龜尾 善山邑 金銅如來立像) ▶만난 날짜 2020년 1월 16일 ▶만난 곳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 ( 관련 정보 ) ▶방문 방법 대구 지하철 2호선 만촌역에서 버스로 5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곁에 있는 국보 제183호, 국보 제184호 불상들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고 어떤 점이 매력적인지 생각해 봅시다. ▷몸이 드러나게 하는 옷자락 표현 양식을 관찰해 봅시다. ▷불상을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며, 제작자는 불자가 어느 정도의 눈높이에서 불상을 만나게 될 것으로 생각하고 불상을 만들었을지 추측해 봅시다. ▶답사 후기 ▷국보 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은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에 들어서면 바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국보 제183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과 국보 제184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 국보 제104호.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만난 곳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정원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1040000 )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