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도지정문화재

(28)
[답사후기] 충청남도 기념물 제115호. 온양향교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충남 아산시 외암로 1414-11 2020년 10월 26일 가능 문은 닫혀 있었습니다. ▶답사 포인트 ▷나라에서 온양군(현재 아산시의 동남부 지역)에 세운 교육기관. ▷좀 더 서쪽의 법곡동에 있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1610년(광해군 2) 현재 위치로 옮겨왔습니다. ▷앞쪽에 교육 공간, 뒤쪽에 제사 공간을 둔 전학후묘 형태입니다. ▶답사 후기 ▷지역 향교들이 보통 그렇지만, 문이 닫혀 있어 내부는 보지 못 하였습니다. 문 앞에 말려둔 고추가 정겹더군요. ▶2020년 10월 26일 촬영 사진
[답사후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호. 온주아문및동헌 (溫州衙門및東軒)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충남 아산시 온주길 27 2020년 10월 26일 가능 ▶답사 포인트 ▷조선시대 온양군(현재 아산시의 동남부 지역)의 관아건물. ▷관아의 문인 아문과 고을 수령이 업무를 보던 동헌이 남아 있습니다. ▷아문은 1871년(고종 8) 다시 세운 건물로, '온주아문(溫州衙文)'이라는 현판이 붙어있습니다. 온주는 온양군의 옛 지명입니다. ▷동헌은 아문과 비슷한 시기 세운 건물로 주재소, 파출소, 동사무소 등 여러 용도로 쓰이다 현재는 비워져 있습니다. ▶답사 후기 ▷많았을 관아 건물은 다 온데간데 없고 오로지 두 건물만 남아 참 한적했습니다. 서늘한 가을 바람이 어울리는 곳이었어요. ▶2020년 10월 26일 촬영 사진
[답사후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1호. 담양송강집및기암집목판 (潭陽松江集및畸庵集木板)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한국가사문학관 2020년 10월 22일 가능 송강집 목판 2매 ▶답사 포인트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송강 정철(1536~1593)과 정철의 아들 기암 정홍명(1592~1650)의 문집을 새긴 목판. ▷송강집 목판은 1894년(고종 31)에 새긴 것으로 330매입니다. 원래 있던 목판이 불에 타 후손 정운학이 다시 새긴 목판으로 보존 상태가 좋습니다. ▷기암집 목판은 1684년(숙종 10)에 새긴 것으로 250매입니다. 연대가 오래 되었으나 보존 상태가 좋은 편입니다. ▶답사 후기 ▷가사문학하면 생각나는 송강 정철의 목판을 보게되어 신기했습니다.
[답사후기]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눌재집목판각 (訥齋集木版刻)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한국가사문학관 2020년 10월 22일 가능 눌재집 목판 2매 ▶답사 포인트 ▷조선 전기의 학자 눌재 박상(1474~1530)의 시문집을 새긴 목판. ▷목판에는 원집 7권, 속집 5권이 새겨져 있으며 총 370매입니다. ▶답사 후기 ▷두 장의 목판이 진열되었는데 가까운 쪽의 목판은 뒤집어져 있고, 멀리 있는 쪽의 목판은 정방향으로 놓여 있어 그 의도가 따로 있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지금 보니 두 목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네요.
[답사후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ㆍ십육나한상 및 권속 (平昌 上院寺 靈山殿 釋迦三尊ㆍ十六羅漢像 및 眷屬)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2020년 10월 20일 가능 21구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에 있는 석가삼존, 십육나한, 제석천(석제환인), 시자의 불상. ▷석가삼존: 석가모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중앙에 석가모니, 왼편에 미륵보살, 오른편에 제화갈라보살이 자리하고 그 좌우로 16나한이 8구씩 나뉘어 있으며(오른편 홀수, 왼편 짝수), 끝자락에 제석천과 사자가 있습니다. ▷21구 모두 좌상입니다.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나한 제1~6존자는 나무로 제작하였고 나머지 13구는 진흙과 지푸라기를 섞어 소조로 제작하였습니다. ▷미륵보살상에서 발견된 복장유물 중 조성발원문과 중수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1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동자상(3구) (平昌 上院寺 文殊殿 木造童子像(3軀))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2020년 10월 20일 불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에 봉안된 3구의 동자상 ▷상원사 문수전 안에 '국보 제22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및 '보물 제181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中 목조문수보살좌상과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동자는 승려가 될 뜻을 가지고, 사찰에 와 머리를 깎고 불법을 배우는 아직 출가하지 않은 사내아이입니다. 불화나 불상에서 대체로 부처와 보살을 모시고 섬기는 역할을 합니다. ▷3구의 동자상 中 합장을 하고 몸을 앞으로 기울인 동자상은 화엄경 입법계품에 등장하는 선재동자를 표현하였습니다.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0호.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平昌 上院寺 文殊殿 木造帝釋天王像)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2020년 10월 20일 불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평창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에 있는 목조제석천왕상. ▷제석천: 고대 인도의 신 인드라를 불교에서 수용한 것으로, 수미산 정상 도리천에 있는 제석천궁에서 사천왕을 거느리고 불법과 불제자를 보호하는 신입니다. ▷의자에 앉아 있으며 머리에 화려하고 높은 보관을 썼습니다. ▷복장유물 중 1645년(인조 23) 필사한 조성 발원문이 발견되어 정확한 제작 연대를 알 수 있습니다. 제석천왕상 바닥에는 同治元年壬戌(동치원년임술) 표기가 있어 1862년 중수된 사실을 알 수 있어요. ▶답사 후기 ▷여러모로 인상적인 문화재입니다. 목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86호. 원주 구룡사 삼전패 (原州 龜龍寺 三殿牌)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가능 ※월정사 성보박물관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3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원주 구룡사에 있었던 전패 3종입니다. ▷왼쪽부터 각각 왕비(王妃), 주상(主上), 세자(世子)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전패입니다. ▷확대하여 자세히 바라보면 상부에는 운룡문을, 좌우로는 연화 당초문을 표현하였습니다. ▶답사 후기 ▷필치가 세련되고,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생김새의 삼전패입니다. 만수무강을 비는 용도이기에, 같은 의도의 소품을 만들어도 괜찮을 것 같아요.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촬영 사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삼척 영은사 불연 (三陟 靈隱寺 佛輦)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가능 ※월정사 성보박물관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3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삼척 영은사에 전해 내려온 불연. ▷불연: 불교 신앙의 대상인 부처, 보살이나 불교 의식의 주인공인 영가(영혼) 등을 모시는 가마. 시련의식이나 각종 불교 의례에서 불, 보살, 영가 등을 법회 장소까지 모시고 원래 장소로 돌아갈 때 사용합니다. ▷시련(侍輦)의식: 신앙의 대상과 재를 받을 대상을 가마(輦)로 모시는(侍) 의식 ▷불연 바닥문의 명문을 통해 1761년(영조 37) 지금은 터만 남은 울진 대흥사에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습..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59호. 평창 월정사 북대 고운암 목조미륵보살좌상 (平昌 月精寺 北臺 孤雲庵 木造彌勒菩薩坐像)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가능 ※월정사 성보박물관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3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평창 월정사의 부속 암자인 북대 고운암에 봉안하였던 목조미륵보살좌상.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썼고 머리카락은 어깨까지 늘어졌습니다. ▷가부좌를 하고 왼손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 올려 연꽃 가지를 받쳐 들었습니다. ▷2009년 발원문, 후령통, 다라니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발원문: 1710년 북대 고운암 목조석가여래좌상의 좌협시로 조성된 미륵보살로 광습, 찬흘, 서희 3인의 승려가 조성하였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답사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