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정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4)
국가민속문화재 제229호. 진주하씨 묘 출토유물 (晉州河氏 墓 出土遺物) ▶수량 일괄(249점) 81점: 의복류, 침구류, 빗첩 등 168점: 서간문 ▶만난 날짜 2020년 1월 16일: 일괄 中 진주하씨에게 남편 곽주가 보낸 서간문 2점 ▶만난 곳 국립대구박물관 중세문화실 ( 관련 정보 ) ▶방문 방법 대구 지하철 2호선 만촌역에서 버스로 5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서간문은 17세기 중기 언어 연구에, 복식류는 17세기 중기 복식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입니다. ▷서간문을 설명문과 비교하여 읽어보며 그 시대의 한글 표현이 어떻게 달랐는지 체감할 수 있습니다. ▷편지의 내용에서 과거의 사람들도 오늘날 사람들과 별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답사 후기 ▷편지 내용에서 가족을 향한 곽주의 마음 씀씀이가 절절히 느껴졌습니다. 17세기의 편지가 ..
국가민속문화재 제65호.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興宣大院君 麒麟胸背) ▶만난 날짜 2020년 1월 16일 ▶만난 곳 국립대구박물관 복식문화실 ( 관련 정보 ) ▶방문 방법 대구 지하철 2호선 만촌역에서 버스로 5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관복에 달았던 흉배입니다. 역사속 인물이 사용하던 유물을 직접 만날 수 있어 흥미롭습니다. ▷당대 사람들이 상상 속의 동물인 기린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볼 수 있습니다. ▶답사 후기 ▷기린의 똘망똘망한 눈망울이 귀엽습니다. 옷은 어디가고 흉배만 남게 되었는지 사연이 궁금하네요.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1100650000 ) 이 유물은 흥선대원..
국가민속문화재 제283호. 옥동금 (玉洞琴) ▶만난 날짜 2020년 1월 9일 ▶만난 곳 경기도 안산시 성호박물관 ▶방문 방법 수도권 지하철 4호선 한대앞역에서 도보로 20여분 소요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성호 이익의 셋째 형인 옥동 이서(1662~1723)가 만들여 연주한 거문고입니다. ▷18세기 초 거문고의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유물입니다. ▷옥동금 아랫면에는 '옥동'이라는 글자와 시가 새겨져 있습니다. ▶답사 후기 ▷300여년 전의 거문고를 만나뵙게 되어 즐거웠습니다. 만듬새나 장식 등에서, 악기에 대한 애정이 느껴졌어요. 악기를 둘러싼 함이 빛이 번지는 소재여서 사진으로 남기기 쉽지 않았던 점이 다소 아쉽습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
국가민속문화재 제224호. 여수 연등동 벅수 (麗水 蓮燈洞 벅수) ▶만난 날짜 2020년 1월 2일 ▶만난 곳 전라남도 여수시 연등동 371 ▶방문 방법 여수 충민사에서 걸어서 20분 거리입니다.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483602240000 ) 여수시로 진입하는 옛도로의 북쪽에 동·서로 서 있는 한 쌍의 돌장승이다. 이 지역에서는 장승을 벅수라고 부르는데, 좌수영 시절(조선시대 수군이 주둔하여 있던 때) 서문으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아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한 듯 하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동쪽 벅수에는 ‘남정중(南正重)’, 서쪽 벅수에는 ‘화정려(火正黎)’라는 글씨가 있다. 동쪽에 있는 남자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