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94)
국보 제186호.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楊平 新花里 金銅如來立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1860000 ) 1976년 경기도 양평군 신화리에서 농지를 정리하던 중에 우연히 발견된 높이 30㎝의 불상인데, 이곳에서 기와조각 등 유물이 많이 나온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었으나, 보존 상태가 매우 좋고 도금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 있다. 얼굴은 길고 둥글어 풍만한 느낌을 주며, 목은 매우 길고 굵게 표현되어 있다. 얼굴에 비해 몸이 매우 길어..
국보 제127호.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서울 三陽洞 金銅觀音菩薩立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1270000 ) 1967년 서울시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된 높이 20.7㎝의 보살상으로,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발목 윗부분에 금이 가고 왼쪽 옷자락이 약간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머리에는 삼각형의 관(冠)을 쓰고 있고, 양감 있는 얼굴은 원만해 보이며, 입가에는 엷은 미소를 짓고 있다. 상체는 어깨가 좁아 위축된 모양이며, 배를 앞으로 내밀고 있어 옆에서 보면 활처럼 휘어진 모습이다. 배와..
국보 제119호.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1190000 ) 고구려와 관련된 글이 새겨져 있는 불상으로, 옛 신라 지역인 경상남도 의령지방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광배(光背) 뒷면에 남아있는 글에 따르면 평양 동사(東寺)의 승려들이 천불(千佛)을 만들어 세상에 널리 퍼뜨리고자 만들었던 불상 가운데 29번째 것으로, 전체 높이는 16.2㎝이다. 머리는 삼국시대 불상으로는 유례가 드물게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큼..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0830000 )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78호)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가 93.5㎝이다. 1920년대에 경주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의 관(冠)을 쓰고 있어서 ‘삼산반가사유상(三山半跏思惟像)’으로도 불린다. 얼굴은 거의 원형에 가까울 정도로 풍만하고 눈두덩과 입가에서 미소를 풍기고 있다. 상체에는 옷을 걸치지 않았..
국보 제82호.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阿彌陀如來立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0820000 )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감산사는 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왕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후 그는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는 두 불상을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국보 제82호)으로 지정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석조아미타불..
국보 제81호.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慶州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0810000 ) 경상북도 월성군에 있는 감산사는 신라 성덕왕 18년(719)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왕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한 해에 그는 어머니를 위해 미륵보살을, 아버지를 위해 아미타불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과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국보 제82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머리에 화려..
국보 제80호.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0800000 )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과 함께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7호)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전체 높이 14㎝의 순금으로 만든 불상이며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고, 갸름한 얼굴은 양감이 있고 자비롭다. 눈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며, 콧날은 날카롭고 입가에는 미소가 번져 있다. 약간..
보물 제1899호. 은제도금화형탁잔 (銀製鍍金花形托盞)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금속공예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8990000 ) 이 은제도금화형탁잔은 잔과 함께 잔을 받치는 잔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개 잔과 함께 한 벌을 이룰 때에 ‘탁잔(托盞)’이라고 명명한다. 이 탁잔은 표면에 도금이 고루 입혀져 금색이 완연하며, 잔과 잔 받침은 모두 육화형(六花形)을 띠며 잔 받침대에는 화문을 타출시켜 화려함과 정교한 세공기술을 더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은제도금 탁잔뿐만 아니라 은제 주전자, 은제 합, 팔찌 등에도 타출기법을 사..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感恩寺址 東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수량 외함, 내함, 사리병(수정 사리병, 금알갱이 장식 뚜껑, 금알갱이 장식 받침, 원판 수정제받침, 금동제 투조받침) ▶만난 곳 ▷내함, 사리병(수정 사리병, 금알갱이 장식 뚜껑, 원판 수정제받침, 금동제 투조받침)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금속공예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3590000 ) 경상북도 월성군 감은사 터에 있는 감은사지삼층석탑(국보 제112호) 의 동쪽에 있는 석탑을 1996년도에 해체·수리하면서 발견된 일괄유물 중 사리 일괄품이다. 1959년에 발견된 감은사지..
보물 제338호. 금령총 금관 (金鈴塚 金冠)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금속공예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3380000 ) 금령총금관(金鈴塚金冠)은 지금까지 발견된 금관 중에서는 가장 작으면서도 단순한 형식으로, 높이 27㎝, 지름 15㎝의 금관이다. 중앙 정면과 그 좌우에 山자형 장식을 4단으로 연결하고 가지 끝은 꽃봉오리형으로 마무리 했다. 山자형 장식의 좌우에는 사슴뿔 장식 가지 2개를 붙였다. 관 테와 5개의 가지에는 모두 같은 장식이 되어 있다. 표면 아래·위에 두 줄로 된 점무늬를 찍고, 그 사이에 나뭇..
국보 제280호.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 天興寺銘 銅鍾)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금속공예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2800000 ) 국내에 남아있는 고려시대 종 가운데 가장 큰 종으로서 종의 높이 1.33m, 종의 구경은 입구 0.96m이다. 종 위에는 종의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가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신라 종의 용보다 고개를 쳐 들어 올린 모습을 하고 있다. 용뉴 뒤에 붙은 음통은 대나무 모양이며, 편평한 부분인 천판 가장자리에는 연꽃무늬를 돌렸다. 몸체의 아래와 위에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한..
국보 제92호.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淨甁)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조각·공예관 금속공예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답사 포인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344호.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 ( 관련 정보 )'과 함께 비교해봅시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0920000 ) 고려시대 대표적인 금속 공예품의 하나로 높이 37.5㎝의 은입사로 시문된 정병(淨甁)이다. 둥근 몸체의 어깨와 굽 위에 꽃무늬를 두르고, 그 사이에 우거진 갈대와 수양버들이 늘어진 언덕이 있으며, 주위로 오리를 비롯하여 물새들이 헤엄치거나 날아오르는 서정적인 풍경을 묘사하..
보물 제1405호. 비해당 소상팔경시첩 (匪懈堂 瀟湘八景詩帖)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4050000 )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은 세종(世宗) 24년(1442)에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 호는 비해당(匪懈堂))의 주선으로 송영종(宋寧宗)의 팔경시(八景詩)를 모탑(模탑)하고 팔경도(八景圖)를 그려 판각한 다음, 고려의 이인로와 진화의 팔경시를 이서..
보물 제1404호. 봉사조선창화시권 (奉使朝鮮倡和詩卷)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4040000 ) 봉사조선창화시권은 왕숙안(王叔安)이 전서(篆書)로 「봉사조선창화시책(奉使朝鮮倡和詩冊)」이라 쓴 제전(題篆)과 창화시(唱和詩) 본체 및 청(淸)나라 당한제(唐翰題)와 나진옥(羅振玉)이 쓴 발문(跋文)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明)나라 봉사(奉使..
보물 제1328호. 기영회도 (耆英會圖)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Ⅱ '그윽한 산수를 거닐다 조선 전기 서화' 상설전시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3280000 ) 기영회란 기로회라고도 하며, 만 70세 이상의 2품 이상 원로 사대부로 구성된 모임을 말한다. 이 기영회의 모임 후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린 그림이 기영회도이다. 친목 모임인 기영회는 처음에는 주로 산이나 강가에서 열었으나 16세기 이후에는 건물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