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94)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물 제1101호.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橡紙銀泥 大般若波羅蜜多經 卷三百五) ▶만난 곳 (1)2019년 12월 25일.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 ( 관련 정보 ) (2)2019년 7월 31일. 호림박물관 신림본관 상설전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1010000 ) 대반야바라밀다경은 줄여서 ‘대반야경’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존재물 자체에는 실체가 없으므로 집착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는 공(空)사상을 주요사상으로 하고 있다. 당나라 현장(玄장)이 번역한 것으로 전권은 600권이다. 이 경은 대반야경 600권 가운데 권 제305로, 불모품(佛母品)의 처음부분에 해당된다. 갈색의 종.. 보물 제756호. 감지금니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紺紙金泥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七) ▶만난 곳 (1)2019년 12월 25일.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 ( 관련 정보 ) (2)2019년 7월 31일. 호림박물관 신림본관 상설전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7560000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은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또는 ‘능엄경’이라 부른다. 부처님의 말씀을 머리속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체득하여 힘을 갖는 것을 주요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스님들이 수련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배우는 경전이다. 감지금니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紺紙金泥大佛.. 보물 제755호.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 (紺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六) ▶만난 곳 (1)2019년 12월 25일.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 ( 관련 정보 ) (2)2019년 7월 31일. 호림박물관 신림본관 상설전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7550000 )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5~6(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五~六)책은 당의 실차난타가 번역한『화엄경』.. 보물 제754호.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 (紺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 ▶만난 곳 (1)2019년 12월 25일.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 ( 관련 정보 ) (2)2019년 7월 31일. 호림박물관 신림본관 상설전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7540000 )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7(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七)은 당의 실차난타가 번역한『화엄경』주본 .. 사적 제125호. 종묘 (宗廟) ▶간략 설명 종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조선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 사당입니다. ▶사적 제125호. 종묘에서 만날 수 있는 지정문화재 (1)국보 제227호. 종묘 정전 ( 관련 사진 ) (2)보물 제821호. 종묘 영녕전 ( 관련 사진 ) (3)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6호. 종묘 어정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20년 12월 24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웹사이트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링크 ▶위치 도로명주소: 서울 종로구 종로 157 지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1-2 ▶대중교통으로 가는 방법 수도권 지하철 1, 3, 5호선 종로3가역에서 도보로 5분 소요 ▶관람시간 ※ 매주 화요일 휴관 ※ 문화재해설사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6호. 종묘 어정 (宗廟 御井) ▶만날 수 있는 곳 사적 제125호. 종묘 (宗廟)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20년 4월 29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1100560000 ) 유일하게 서울 4대문 안에 보존되어 있는 우물로, 조선 역대 왕들이 종묘 왕래시 이 우물물을 마셨다고 하여 ‘어정(御井)’이라 부른다. 우물의 형태는 둥글고, 깊이는 약 8m에 지름은 1.5m로, 우물 속은 온통 돌벽으로 쌓여 있다. 우물 윗부분은 원래 사각의 긴 돌을 井자 모양으로 짠 후, 그 위를 그 모양새에 따라 돌로 쌓아 올린 형태였던 것을, 일제 시대 때 콘크리트를 발라 그 모양이 바.. 보물 제821호. 종묘 영녕전 (宗廟 永寧殿) ▶만날 수 있는 곳 사적 제125호. 종묘 (宗廟)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20년 4월 29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8210000 ) 종묘는 조선시대 왕·왕비·공신 등의 신주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그 중 영녕전은 종묘의 일부로 정전의 서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영녕전을 짓게 된 동기는 시간이 흐르고 죽은 왕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건물을 늘리거나 새로 지어야 할 필요 때문이었다. 이 건물은 세종 3년(1421) 정종의 신주를 종묘에 모실 때 지은 것으로, 태조의 4대조와 정전에서 계속 모실 수 없는 왕과 왕비의 신주.. 국보 제227호. 종묘 정전 (宗廟 正殿) ▶만날 수 있는 곳 사적 제125호. 종묘 (宗廟)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20년 4월 29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2270000 )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임금의 신위를 모신 곳으로, 정전은 종묘의 중심 건물로 영녕전과 구분하여 태묘(太廟)라 부르기도 한다. 정전은 조선시대 초 태조 이성계의 4대조(목조, 익조, 도조, 환조) 신위를 모셨으나, 그 후 당시 재위하던 왕의 4대조(고조, 증조, 조부, 부)와 조선시대 역대 왕 가운데 공덕이 있는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하는 곳이 되었다. 종묘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 온릉, 조선 11대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의 단릉 ▶간략 설명 '사적 제210호. 양주 온릉'에 위치합니다. ( 관련 정보 ) ▶만난 날짜 2019년 12월 24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아래부터 2019년 12월 24일에 촬영한 사진입니다. 사적 제210호. 양주 온릉 (楊州 溫陵) ▶간략 설명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지정된 18개 사적 중 하나입니다. ( 관련 정보 ) ▶양주 온릉 온릉: 조선 11대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의 단릉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19년 12월 24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웹사이트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양주 온릉: 링크 ▶위치 도로명주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호국로 255-41 지번: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19 ▶대중교통으로 가는 방법 수도권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에서 버스로 20여분 소요 ▶관람시간 겨울에 짧아지고 여름에 길어집니다. 매표시간 관람시간 11月, 12月, 1月 09:00~16:30 09:00~17:30 2月, 3月, 4月, 5月, 9月, 10月 09:00~17:00 09:00~18:00 6月, 7.. 보물 제1103호.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紺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十三) ▶만난 곳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 ( 관련 정보 ) ▶만난 날짜 2019년 12월 25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1030000 )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동진의 불타발타라가 번역한『화엄경』진본 60권 중 제13권으로 검푸른 종이에 금·은가루를 사용하여 글씨를 썼으며, 두루마리처럼 둘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형태이다. 화려..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 [간략 설명] 호림박물관 소장 고려 사경(寫經, 불경을 옮겨 쓴 것)을 만날 수 있는 전시 2019년 12월 16일 시작되어 2020년 2월 22일 종료 12건 14점의 고려시대 사경과 1건 7점의 조선시대 사경 전시 보물로 지정된 고려시대 사경 8점 전시 ▶전시가 진행된 곳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만난 날짜 2019년 12월 25일 ▶2019년 12월 25일.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장엄공덕_고려사경'에서 만난 지정문화재 보물 제751호.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紺紙銀泥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三十四) ( 관련 정보 ) 보물 제752호.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입불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紺紙金泥 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 관련 정보 ) 보물 제753호.. 사릉, 조선 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단릉 ▶간략 설명 '사적 제209호. 남양주 사릉'에 위치합니다. ( 관련 정보 ) ▶만난 날짜 2019년 8월 18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아래부터 2019년 8월 18일에 촬영한 사진입니다. 사적 제209호. 남양주 사릉 (南楊州 思陵) ▶간략 설명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지정된 18개 사적 중 하나입니다. ( 관련 정보 ) ▶남양주 사릉 사릉: 조선 6대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단릉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19년 8월 18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사적 제209호. 남양주 사릉' 근처에 있는 지정문화재 (1)사적 제207호. 남양주 홍릉과 유릉 남양주 사릉에서 버스로 5분 거리에 있습니다. 걸어갈 경우, 30분 정도 소요됩니다. (2)사적 제363호. 남양주 광해군묘 & 사적 제365호. 남양주 성묘 & 사적 제366호. 남양주 안빈묘 남양주 사릉 북동쪽에 도보로 30여분 거리에 있습니다. ※광해군묘, 성묘, 안빈묘는 사적지 원형 보존과 훼손 방지를 위하여 비공개로 관리중입니다. ▶웹사이트 문화재청 궁능유적본.. 보물 제1903호.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高麗 水月觀音菩薩圖) ▶만난 곳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특별전 '10년의 기록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 ( 관련 정보 ) ▶만난 날짜 2019년 7월 5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9030000 ) 고려 수월관음도의 도설내용은 『大方廣佛華嚴經』「入法戒品」에 근거하며, 「입법계품」은 선재동자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53명의 선지식을 찾아 가는 남방순례 중 28번째 관음보살을 방문하여 보살도는 묻는 장면이다. 이 그림은 이러한 경전의 내용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한 것인데, 그림은 관음보살과 선재동자라는 이야기의 두 주인공이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화면의 중심에는 보타락가..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