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94)
[답사후기] 보물 제536호.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牙山 坪村里 石造藥師如來立像)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충청남도 아산시 용담사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평촌길 50번길 147-20) 2020년 10월 26일 가능 ▶답사 포인트 ▷아산시 송악면 평촌리 용담사에 위치한 석조약사여래입상 ▷거대한 화강암을 다듬어 조각하였습니다. ▷가슴 부분에 모은 두 손이 약그릇을 감싸고 있어, 중생의 질병을 구원하는 약사불을 조각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자락이 발목까지 덮었으며, 옷 주름을 좌우대칭이 되도록 표현하였습니다. ▷무릎 부분에 원형의 옷주름을 새겼습니다. 이러한 양식은 '보물 제116호. 영주 석교리 석조여래입상'과 같은 통일신라 불상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이 불상은 얼굴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등 통일신라시대의 요소를 가지고 있으나, 좌우대칭으..
[답사후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11호. 담양송강집및기암집목판 (潭陽松江集및畸庵集木板)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한국가사문학관 2020년 10월 22일 가능 송강집 목판 2매 ▶답사 포인트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송강 정철(1536~1593)과 정철의 아들 기암 정홍명(1592~1650)의 문집을 새긴 목판. ▷송강집 목판은 1894년(고종 31)에 새긴 것으로 330매입니다. 원래 있던 목판이 불에 타 후손 정운학이 다시 새긴 목판으로 보존 상태가 좋습니다. ▷기암집 목판은 1684년(숙종 10)에 새긴 것으로 250매입니다. 연대가 오래 되었으나 보존 상태가 좋은 편입니다. ▶답사 후기 ▷가사문학하면 생각나는 송강 정철의 목판을 보게되어 신기했습니다.
[답사후기]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눌재집목판각 (訥齋集木版刻)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한국가사문학관 2020년 10월 22일 가능 눌재집 목판 2매 ▶답사 포인트 ▷조선 전기의 학자 눌재 박상(1474~1530)의 시문집을 새긴 목판. ▷목판에는 원집 7권, 속집 5권이 새겨져 있으며 총 370매입니다. ▶답사 후기 ▷두 장의 목판이 진열되었는데 가까운 쪽의 목판은 뒤집어져 있고, 멀리 있는 쪽의 목판은 정방향으로 놓여 있어 그 의도가 따로 있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지금 보니 두 목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네요.
[답사후기] 명승 제107호. 광주 환벽당 일원 (光州 環碧堂 一圓)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남쪽에 인접) 2020년 10월 22일 가능 ▶답사 포인트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 위치한 정자와 그 일원. ▷환벽(環碧)은 푸르름(碧)이 두른(環) 곳이라는 의미입니다. ▷사촌 김윤제(1501~1572)가 자신이 살던 충효마을의 언덕 위에 지은 정자로, 북쪽으로 흐르는 증암천 너머에는 송강 정철이 살았던 지실마을과 식영정이 있습니다. ▶답사 후기 ▷눈도 마음도 시원한 곳입니다. 가까이에 있는 식영정이나 소쇄원과 비교하면 장대함은 적지만, 보다 당당한 맛이 있어요. 호연지기라는 단어와 어울리는 곳입니다. ▶2020년 10월 22일 촬영 사진
[답사후기] 명승 제57호. 담양 식영정 일원 (潭陽 息影亭 一圓)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2020년 10월 22일 가능 ▶답사 포인트 ▷담양군 가사문학면에 있는 정자와 그 주변 경관. ▷'息影 (식영)'은 그림자(影)도 쉬어간다는(息) 의미입니다. ▷1560년(명종 15) 서하당 김성원(1525~1597)이 장인인 석천 임억령(1496~1568)을 위해 지었습니다. ▷석천 임억령에게 시를 배운 송강 정철(1536~1593)은 이곳에서 시가 '성산별곡'을 짓습니다. ▷당대 사람들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으로 활동한 고경명(1533~1592)과 함께 임억령, 김성원, 정철 네 사람을 '식영정 사선(四仙, 네 신선)'이라 불렀습니다. ▶답사 후기 ▷정말 아름다운 곳입니다. 담양 소쇄원이 '이렇게 살 수도 있는거구나' 싶은 곳이라면,..
[답사후기]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 (潭陽 瀟灑園)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2020년 10월 22일 가능 ▶답사 포인트 ▷담양군 가사문학면에 있는 조선 중기 정원. ▷1530년(중종 25) 조광조의 제자 소쇄옹 양산보(1503~1557)가 건립하였습니다. ▷계곡을 중심으로 조성한 정원으로, 자연과 인공이 잘 어우러졌습니다. ▷어디서 보아도 멋진 모습이 계속 되니 여유를 가지고 느긋하게 방문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답사 후기 ▷조선을 대표하는 미감을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곳이 담양 소쇄원이라, 그 존재도 알고 잡지로도 읽어보고 책으로도 접했었지만 이번에 처음 방문하였습니다. 그런데 직접 가보니 정말 너무나도 좋았습니다. 글과 사진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아름다움이 곳곳에 담겨 있었어요. 많은 분들이 다녀가셨..
[답사후기]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2호. 월정사부도군 (月精寺浮屠群)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오대산 월정사 북쪽 2020년 10월 20일 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가는 길에 자리한 22기의 부도군. ▷월정사에서 700m가량 떨어져 가깝습니다. ▷종모양 승탑이 대부분 이며, 2중 기단과 옥개석을 갖춘 원탑형 승탑도 있습니다. ▶답사 후기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향하는 선재길로 가는 도중에 있어 접하기 쉽습니다. 부도의 숫자에서 역사가 느껴졌어요. ▶월정사부도군, 2020년 10월 20일 촬영 사진
[답사후기] 사적 제37호. 평창 오대산사고 (平昌 五臺山史庫)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평창 오대산사고 2020년 10월 20일 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조선왕조실록과 왕실의 족보인 선원보략을 보관하기 위해 지은 평창 오대산사고의 터. ▷건물들은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사라지고 1992년 복원하였습니다. ▷앞쪽의 건물은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한 사각(史閣), 뒷쪽의 건물은 선원보략을 보관한 선원보각(璿源寶閣)입니다. ▷오대산 상원사와 월정사 사이에 있습니다. ▷평창 오대산사고에 보관하였던 '국보 제151-3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은 1913년 동경제국대학으로 반출되어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상당수 소실되었습니다. 현재, 1932년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된 27책, 2006..
[답사후기] 보물 제1995호.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平昌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2020년 10월 20일 가능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오대산 중대 사자암 위쪽에 자리 잡은 적멸보궁. ▷해발고도 1189m. ▷적멸보궁 뒤 편 봉긋한 부분이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된 곳이라 전해지며, 석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부처님의 진신사리 자체가 신앙의 대상이기에 내부에 불상을 모시지 않았습니다. ▷석비에는 5층 목탑이 돋을새김 되어있습니다. ▷내외부 이중구조의 독특한 건축물입니다. ▷내부는 다포식, 외부는 익공식 건물입니다. 내부 건축물은 조선 전기 다포식 목조건축 양식을 담고 있어 건축적 가치가 높습니다. ▶답사 후기 ▷굉장히 높은 곳에 있어 고요하지 않을..
[답사후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평창 상원사 영산전 석가삼존ㆍ십육나한상 및 권속 (平昌 上院寺 靈山殿 釋迦三尊ㆍ十六羅漢像 및 眷屬)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2020년 10월 20일 가능 21구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에 있는 석가삼존, 십육나한, 제석천(석제환인), 시자의 불상. ▷석가삼존: 석가모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중앙에 석가모니, 왼편에 미륵보살, 오른편에 제화갈라보살이 자리하고 그 좌우로 16나한이 8구씩 나뉘어 있으며(오른편 홀수, 왼편 짝수), 끝자락에 제석천과 사자가 있습니다. ▷21구 모두 좌상입니다.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 나한 제1~6존자는 나무로 제작하였고 나머지 13구는 진흙과 지푸라기를 섞어 소조로 제작하였습니다. ▷미륵보살상에서 발견된 복장유물 중 조성발원문과 중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