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정문화재

(264)
보물 제1877호.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실Ⅰ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8770000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는 신라말 고려초의 고승인 낭공대사(朗空大師) 행적(行寂)〔832(흥덕왕7)~ 916(신덕왕5)〕의 탑비이다. 비문의 찬자는 당대 문장으로 평가받았던 최인연과 대사의 문하법손(門下法孫)인 석순백(釋純白)이다. 또한 문하승인 승려 단목(端目)이 명필 김생의 행서 글씨를 집자하여 승려 숭태, 수규, 청직, 혜초 등이 새겨 954년(광종 5)에 세운 비이다. 이 비는 신라말 고려초의..
보물 제547-1호. 김정희 종가 유물 (金正喜 宗家 遺物) ▶수량 유물(인장 31과, 수정염주, 보리염주, 운룡문단계연, 유명연, 도철문연, 모필 7자루), 유묵(예서대련, 순우장하승비, 을묘칠정, 척독초본, 십삼년정미첩, 사공도시평첩, 상지십년용집협흡, 충술근수교훈묵의헌진장, 소재첩), 서첩(금반첩, 심경첩) ▶만난 곳 ▷유물 中 유명연, 도철문연, 모필 5자루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Ⅰ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유물 中 인장 27과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서화Ⅱ 상설전시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5470000 ) 김정희 종가 유물..
보물 제1857호.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永川 銀海寺 念佛往生捷徑圖)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8570000 )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중생들을 般若龍船에 태우고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장면과 이를 맞이하는 아미타불 일행, 極樂蓮池에서 蓮花化生하는 왕생자, 寶樹와 極樂鳥 등 극락의 장엄한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표현한 念佛往生捷徑圖이다. 원래 은해사 심검당에 舊藏되었던 것으로 도난 되었다가 최근 회수되었는데, 현재 화기는 남아 있지 않지만 ..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 (銀海寺 掛佛幀)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 관련 정보 ) 2020년 5월 8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서화관 불교회화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2700000 )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이 열릴 때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기 위해 만든 대형 불교그림를 말하는데, 이 불화는 거대한 화면에 불을 단독으로 그린 형식으로 비단바탕에 채색되었다. 이 괘불의 불(佛) 좌우로 대칭되게 장..
보물 제1058호.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白磁 靑畵七寶蘭草文 甁)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최영도실박병래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0580000 )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높이 21.1㎝, 아가리 지름 3.6㎝, 밑지름 7.8㎝의 크기이다. 8각의 항아리 몸체 위에 목이 긴 병이 얹혀 있는 일종의 표주박형의 병으로 조선 후기에 새로 나타난 형태이다. 한국적인 익살이 넘치는 이 병은 아래에 모를 깎은 단아한 항아리의 모습과 윗쪽의 유연한 곡선을 지닌 병이 붙어, 곡선과 각이 조화를 이루어 참신한 느낌을 준다. 문양은 밝은 청색 안료를..
보물 제1067호.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粉靑沙器 象嵌蓮花唐草文 甁)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이홍근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0670000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31.7㎝, 아가리 지름 8㎝, 굽 지름 9.9㎝인 항아리로, 목을 지나면서 서서히 팽창되어 몸체 아랫부분에서 팽배되었다가, 다시 좁아져 굽에 이르는 안정감이 돋보인다. 아가리부분은 나팔같이 벌어지고 목부분은 좁다. 전체적으로 두 세줄의 백상감 선을 넣어 그 사이사이에 덩굴무늬, 도식화된 연꽃무늬을 그려 넣었다. 몸통 중앙에는 3곳에 연꽃무늬를 그렸으며, 연꽃은 줄기와 잎이 덩..
보물 제1061호. 백자 철채 뿔잔 (白磁 鐵彩 角杯)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이홍근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0610000 ) 소뿔 모양의 잔으로 뿔 끝을 검은색으로 자연스럽게 채색하여 사실성을 강조한, 길이 17㎝, 아가리 지름 5.3㎝의 뿔잔(각배)이다. 원래 이러한 뿔잔은 삼국시대의 가야, 신라 무덤에서 발견되는 우각형도기배라는 종류의 그릇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그 후 고려 시대에도 청자우각형배와 같은 예가 있어서 아주 오래 전부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순백의 바탕흙에 묽은 청색을 띠는 백자유약을 전체에 ..
보물 제1125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佛說大報父母恩重經)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1250000 )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줄여서 ‘부모은중경’, ‘은중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부모의 소중한 은혜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얘기한 경전이다. 은중경은 구마라습이 번역한 것이며, 이 책은 세종 14년(1432)에 태종의 후궁인 명빈 김씨에 의해 간행된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첩장 형태이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3.5㎝, 가로 11.3㎝이다. 일반적인 은중..
보물 제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 (古代 그리스 靑銅 冑)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09040000 ) 1936년 손기정이 베를린 올림픽 경기대회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높이 21.5㎝의 그리스의 청동투구이다. 기원전 6세기경 그리스의 코린트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1875년 독일의 고고학자에 의해 올림피아에서 발굴되었다. 형태를 보면 머리에 썼을 때 두 눈과 입이 나오고 콧등에서 코끝까지 가리도록 만들어졌으며, 머리 뒷부분은 목까지 완전히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눈과 입의 노출을 위해..
국보 제145호. 귀면 청동로 (鬼面 靑銅爐) ▶만난 곳 2020년 5월 6일. 국립중앙박물관 2층. 기증관 기증문화재실 상설전시 ( 관련 정보 )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1101450000 ) 귀면청동로는 높이 12.9㎝로 솥 모양의 몸체(훈구부)를 받침부(기대부)가 받치고 있는 모습이며, 몸체에 도깨비 얼굴을 형상화시켜 놓았다. 몸체의 윗부분인 구연부에는 3개의 굴곡진 산형(山形)으로 처리되었고 삼각형 모양이 솟아 있고, 몸체 양 측면에는 각각 2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그 고리에 손잡이 장식을 달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몸체의 아랫부분은 밑으로 가면서 잘록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