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난 곳
장소 | 날짜 | 촬영 가능 여부 | 기타 |
월정사 성보박물관 | 2020년 10월 20일 |
가능 | 총 23점 中 실물 14점과 복제본 2점 전시 |
※월정사 성보박물관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3
※평창군의 문화재 목록: culture-uncle.tistory.com/361
▶답사 포인트
▷1984년 '국보 제22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의 내부에서 발견된 23점의 복장유물.
▷조선 전기 불교 신앙의 경향, 사경의 형태, 불상 조성의 유래, 발원자의 신분, 조선 전기 전적의 서지학적 특징, 조선 전기 복식의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복장유물 23점: 발원문 2점, 전적류 13점, 저고리 2점, 황초폭자, 백색수정보병, 무공수정주, 사리, 화주, 후령통.
※발원문 2점: 조성발원문 1점, 중수발원문 1점, 푸른 비단에 붉은색 글씨를 씀.
※전적류 13점: 백지묵서제진언 1점, 대방광불화엄경 1점, 오대진언 1점, 묘법연화경 5점, 원각경 2점, 육경합부 3점.
지정 번호 및 이름 | 간략 설명 |
보물 제793-1호. 의숙공주발원문 | 조성발원문. 1466년(세조 12) 세조의 둘째 딸 의숙공주(1442~1477)와 그 남편 정현조(1440~1504)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오대산 문수사에 여러 불상과 보살상을 만들어 모셨다는 내용. |
보물 제793-2호. 중수발원문 | 1599년(선조 32) 2구의 문수상과 16구의 나한상 등을 새롭게 금칠하고 수리하였다는 내용. |
보물 제793-3호. 백지묵서제진언 | 1463년 선종선사 내호가 다라니 진언 66가지를 범어로 쓴 두루마리. |
보물 제793-4호. 대방광불화엄경 권 28 | 12~13세기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화엄경 진본(晉本) 60권 中 권28의 목판본. |
보물 제793-5호. 오대진언 |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의 명으로 당나라에서 원본을 구하여 한글로 음역하고 1485년(성종 16) 간행한 책. |
보물 제793-6호. 소자본 묘법연화경 1-7 | 1399년(정종 1) 정천익과 이양의 시주로 간행된 목판본. |
보물 제793-7호. 세소자본 묘법연화경 1-7 | 1404년(태종 4)에 간행된 목판본. |
보물 제793-8호. 을해자본 묘법연화경 6-7 | 세조연간(1455~1468) 을해자로 찍은 책. |
보물 제793-9호. 화암사판 묘법연화경 1-3 | 세조연간(1455~1468)에 간행한 목판본. |
보물 제793-10호. 희방사판 묘법연화경 5-7 | 1561년(명종 16) 풍기의 짓방사(현재의 희방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
보물 제793-11호. 을유자본 원각경언해 | 1465년(세조 11) 을유자로 찍은 목판활자본. |
보물 제793-12호. 신흥사판 원각경 | 강희안이 옮겨 적고 간행했던 간경도감판본을 1564년(명종 19)에 신흥사에서 다시 새겨 찍은 복각판본. |
보물 제793-13호. 영제암판 육경합부 | 1440년(세종 22) 가평 영제암에서 새긴 목판본을 바탕으로 1472년(성종 3) 인수대비의 명으로 찍어낸 책. |
보물 제793-14호. 화암사판 육경합부 | 1488년 고산 화암사에서 새긴 목판본을 저본으로 복각한 판본. |
보물 제793-15호. 중대사판 육경합부 | 세조에서 명종 연간에 진안 중대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보이는 목판본. |
보물 제793-16호. 명주 저고리 | 조선 초기 적삼. ※명주: 견직물. 비단. |
보물 제793-17호. 무문사 저고리 | 조선 초기 생명주 적삼. 범어로 된 천수다라니판이 6개 찍혀 있음. 안섶 안쪽에 '魯氏夫人(노씨부인)'이라 적혀 있음. ※생명주: 명주의 한 종류로 정련을 하지 않은 것. ※정련 : 누에고치 섬유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세리신을 제거하는 과정. : 누에고치 섬유는 2가닥의 피브로인이 3층의 세리신으로 덮여 있습니다. 세리신은 동물성 보호막이에요. : 정련 과정을 거친 누에고치 섬유는 단백질 섬유질인 피브로인만 남으며 좀 더 부드럽고 따뜻해 겨울, 봄, 가을 소재로 사용합니다. : 정련 과정을 적게 거친 누에고치 섬유는 세리신이 남아 모시와 같이 깔깔하고 시원한 촉감을 주기에 여름 소재로 쓰입니다. |
보물 제793-18호. 황초폭자 | 황색 보자기 |
보물 제793-19호. 백색수정보병 | |
보물 제793-20호. 무공수정주 | 구멍이 없는 수정 구슬 |
보물 제793-21호. 사리 | 3개 |
보물 제793-22호. 복장화주 | 3개 |
보물 제793-23호. 후령원통 |
▶답사 후기
▷하나의 보물로 지정되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굉장히 다양한 보물 제793호입니다. 상원사 문수동자좌상이 작지는 않지만 이 많은 게 들어갈 정도로 크지도 않아 보였는데 참 신기하네요.
▷방문 당시, 발원문은 의숙공주발원문의 복제본만 볼 수 있었어요. 전적류는 전부 전시되지는 않았으나, 여섯종류 모두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저고리는 명주 저고리만 복제본이 전시되었어요. 그 외 복장유물은 전부 볼 수 있었습니다. 되도록 복장유물을 전부 볼 수 있도록 신경 쓴 느낌이었습니다.
▶월정사 성보박물관, 2020년 10월 20일 촬영 사진
▷보물 제793-1호. 의숙공주발원문 (복제본)
▷보물 제793-3호. 백지묵서제진언
▷보물 제793-4호. 대방광불화엄경 권 28
▷보물 제793-5호. 오대진언
▷보물 제793-7호. 세소자본 묘법연화경 1-7
▷보물 제793-11호. 을유자본 원각경언해
▷보물 제793-12호. 신흥사판 원각경
▷보물 제793-13호. 영제암판 육경합부
▷보물 제793-14호. 화암사판 육경합부
▷보물 제793-16호. 명주 저고리 (복제본)
▷보물 제793-18호. 황초폭자
▷보물 제793-19호. 백색수정보병
▷보물 제793-20호. 무공수정주
▷보물 제793-21호. 사리
▷보물 제793-22호. 복장화주
▷보물 제793-23호. 후령원통
'국가지정문화재 > 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제181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0) | 2020.11.29 |
---|---|
보물 제1375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사리장엄구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舍利莊嚴具) (0) | 2020.11.28 |
보물 제1971호. 김홍도 필 고사인물도 (金弘道 筆 故事人物圖) (0) | 2020.10.15 |
보물 제1973호.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 (0) | 2020.10.13 |
보물 제1711호. 양산 통도사 영산전 벽화 (梁山 通度寺 靈山殿 壁畵) (0) | 202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