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정문화재 (264)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물 제1062호.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粉靑沙器 鐵畵唐草文 獐本)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철화안료로 덩굴 무늬를 그린 분청사기 장군 ※장군: 액체류를 담는 용기 ▷높이 18.7㎝, 아가리 지름 5.6㎝, 길이 29.5㎝ ▷몸통 중간에 약간 벌어진 아가리가 붙어있고, 그 반대쪽에 굽다리가 있습니다. 그릇 한쪽 측면에도 굽다리가 있어 옆으로도 세울 수 있습니다. ▷솔자국이 남도록 하얀 흙을 바르는 귀얄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철화 안료로 자유로이 덩굴무늬를 그렸습니다. ▶답사 후기 ▷옆으로도 세울 수 있는 실용성이 돋보이는 분청사기 장군입니다. 생활용기에 분청사기의 수더분함이 더해져 더욱 가깝게 느껴져요.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2019년 7월 5일.. 보물 제1055호. 백자 태항아리 (白磁 胎壺)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왕실 자손의 태를 담는 백자 태항아리입니다. ▷외항아리와 내항아리 두 점입니다. 두 항아리의 모습이 유사합니다. ▷외항아리: 높이 42.5㎝, 아가리 지름 25㎝, 밑지름 25.3㎝ ▷내항아리: 높이 27.6㎝, 아가리 지름 10.6㎝, 밑지름 11.7㎝ ▷뚜껑 꼭지에 사방으로 구멍이 뚫려 몸통 윗부분의 4개 고리와 끈으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16세기 전반 경기도 광주 일대의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답사 후기 ▷정갈한 생김새를 자랑하는 백자 태항아리입니다. 태실에 묻혀 있었을 태항아리가 어느 연유로 이곳 박물관에 와있는지 궁금하네요.. 보물 제1022호. 청자 상감동채연화당초용문 병 (靑磁 象嵌銅彩蓮花唐草龍文 甁)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상감과 동채로 연꽃·덩굴·용 무늬를 그린 고려 후기 청자병 ▷높이 38.3㎝, 아가리 지름 6.9㎝, 밑지름 12㎝ ▷길쭉한 목에 아가리가 약간 벌어졌고, 목에서 몸통 아래쪽까지 서서히 벌어지다 확 좁아집니다. 아래쪽에 무게중심이 실린듯한 모습으로 안정감이 있습니다. ▷목 부분을 6개의 단으로 귀획하여 위 3단은 번개·연꽃 무늬를 백상감하고 아래 3단은 연꽃·국화·구름·학을 흑백상감 하였습니다. ▷병 몸통 4면에 큰 원을 그리고, 원 밖에는 꽃을, 원 안에는 여의주를 든 용을 흑백상감 하였습니다. ▷용이 든 여의주에 산화동으로 채색하여 붉은 빛을 띱니다. ▷.. 보물 제807호. 백자 상감모란문 병 (白磁 象嵌牡丹文 甁)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모란을 상감한 조선 전기 백자 병 ▷높이 29.6㎝, 아가리 지름 7.4㎝, 밑지름 9.6㎝ ▷짧은 목에 아가리는 나팔처럼 벌어지고 몸체는 풍만하며 굽다리는 약간 높은 조선 초기 술병의 모습입니다. ※조선 초기 술병: 삼성미술관 Leeum 소장 '보물 제785호. 백자 청화운룡문 병 ( 관련 정보 )'과 비슷한 형태입니다. ▷병목에 위아래 두줄씩 흑상감 선을 두르고, 그 사이에 물결모양 흑상감 선을 그렸습니다. ▷몸에 단순화한 큼직한 모란을 흑상감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답사 후기 ▷안정감 있는 기형이 포근합니다. 간략한 표현과 담백한 색감은 분청사기를 보는 .. 보물 제806호. 백자 반합 (白磁 飯盒)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조선시대 백자 밥그릇입니다. ▷높이 22.5㎝, 뚜껑 높이 9.9㎝, 뚜껑 지름 17.4㎝, 아가리 지름 15.3㎝, 굽지름 9.4㎝ ▷뚜껑에 꽃봉오리 모양 꼭지가 달렸고, 그 둘레에 두 줄의 음각선이 있습니다. ▶답사 후기 ▷만날 때마다 홀린 듯 바라보게 되는 명품 도자기입니다. 보고 있자면 황홀해요. 단아한 빛과 고운 선이 어우러져 그 가치를 더합니다. 명작은 별다른 꾸밈을 보태지 않아도 명작임을 알려줍니다.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2019년 7월 5일 촬영 사진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2019년 12월 25일 촬영 사진 국보 제281호. 백자 병형 주전자 (白磁 甁形 注子)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병 모양의 조선시대 백자 주전자 ▷높이 32.9㎝, 병 높이 29㎝, 아가리 지름 6㎝, 밑 지름 11.4㎝ ▷아가리는 약간 벌어졌고, 짧은 목을 지나며 서서히 벌어져 아래에 무게중심을 둔 안정적인 모습입니다. ▷각진 손잡이와 주둥이를 병에 붙였습니다. ▷'연꽃봉오리 모양 꼭지가 달린 뚜껑'과 '손잡이 윗부분'에 작은 고리가 있어 줄로 매달아 연결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답사 후기 ▷자질구레한 치장 없이 그 자신 그 자체로 아름다움을 뽐내는 백자입니다. 그 뽀얀 색감도 색감이지만 어둠을 등져 선명히 살.. 국보 제222호.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푸른 안료로 매화와 대나무를 그린 뚜껑이 있는 조선전기 백자 항아리 ▷높이 29.2㎝, 아가리 지름 10.7㎝, 밑 지름 14㎝ ▷뚜껑에는 연꽃봉오리 모양 꼭지가 달렸고, 옆면에 아래 위로 가로줄을 한 줄씩 그어 그 사이에 점을 찍었습니다. ▷항아리는 어깨와 밑둥에 간략화된 연꽃무늬 띠를 둘렀고, 중앙에는 매화와 대나무를 그렸습니다. ▶답사 후기 ▷단정한 모양새와 부드러운 색감이 좋은 고급스러운 항아리입니다. 대나무가 그려진 면은 볼 수 없어 아쉽네요.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2019년 7월 5일 촬영 사진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2019년 12월 25일 촬.. 국보 제179호.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粉靑沙器 剝地蓮花魚文 扁甁) ▶만난 곳 장소 날짜 촬영 가능 여부 기타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관련 정보 ) 2019년 7월 5일 2019년 12월 25일 가능 ▶답사 포인트 ▷박지기법으로 연꽃과 물고기를 표현한 조선 전기 분청사기 편병 ※박지기법(剝地技法): 땅(地)을 벗긴다는(剝) 이름처럼, 하얀 흙을 전체적으로 펴바른 후 무늬로 남길 부분을 제외한 영역의 흙만 긁어내는 기법 ※편병(扁甁): 한자로는 작은(扁) 병(甁)이지만, 보통 자라 모양으로 만든 병을 일컫는다. ▷높이 22.5㎝, 아가리 지름 5.2㎝, 바닥 지름 8.6㎝ ▷아가리 밑의 어깨 부분을 국화꽃잎 같은 무늬로 둘렀습니다. ▷넓은 앞면·뒷면과 측면을 구획지어 무늬를 그렸습니다. 앞면 연잎 아래에 물고기가 보입니다. ▷유사한 모습의 분청사기 편병인 '보물 제1456.. 사적 제208호. 서울 정릉 (서울 貞陵) ▶간략 설명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지정된 18개 사적 중 하나입니다. ( 관련 정보 ) ▶서울 정릉 정릉: 조선 1대 태조의 계비 신덕고황후의 단릉 (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19년 8월 28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사적 제208호. 서울 정릉 (서울 貞陵)' 근처에서 만날 수 있는 지정문화재 (1)서울 흥천사 서울 정릉에서 도보로 10여분 거리에 있습니다. ▷서울 흥천사에서 만날 수 있는 지정문화재((2019년 4월 27일 기준) 보물 제1891호. 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등록문화재 제583호. 서울 흥천사 대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6호. 흥천사 극락보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7호. 흥천사 명부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67호. 흥천사 아미타불도 서울특별시.. 사적 제207호. 남양주 홍릉과 유릉 (南楊州 洪陵과 裕陵) ▶간략 설명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지정된 18개 사적 중 하나입니다. ( 관련 정보 ) 남양주 홍릉과 유릉은 고종과 순종의 능입니다. 조선의 국명을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황제로 칭함에 따라 황제릉의 형식으로 조성되었기에 왕릉과 차이가 있습니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 홍릉: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의 합장릉 ( 관련 사진 ) 유릉: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원후 순명효황후와 계후 순정효황후의 합장릉 ( 관련 사진 ) ▶왕릉과 황제릉의 차이 왕릉 황제릉 능침 앞에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丁' 모양의 정자각(丁字閣)이 있습니다. 정자각 대신 사각의 침전(寢殿)이 있습니다. 봉분 앞에 석물이 있습니다. 향·어로 양 옆에 석물이 있으며, 다양한 동물상이 있습니다.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 왼편..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