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사적 제197호. 남양주 광릉 (南楊州 光陵)

728x90

▶간략 설명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지정된 18개 사적 중 하나입니다. ( 관련 정보 )

 

▶남양주 광릉

 광릉: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동원이강릉 관련 사진 )

 

▶만난 날짜

 2019년 12월 18일

 

▶촬영 가능 여부

 촬영 가능

 

▶'사적 제197호. 남양주 광릉 (南楊州 光陵)' 근처 볼만한 곳

(1)국립수목원

 광릉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습니다.

(2)천연기념물 제11호. 광릉 크낙새 서식지

 광릉 서쪽의 산지와 국립수목원 남쪽의 산지가 해당하며 입산통제구역이니 멀리서 봅시다.

(3)남양주 봉선사

 광릉에서 걸어서 30분 거리에 있습니다.

 '보물 제397호. 남양주 봉선사 동종'과 '등록문화재 제522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을 볼 수 있습니다.


사적 제197호. 남양주 광릉 (南楊州 光陵)


▶웹사이트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남양주 광릉: 링크

 

▶위치

 도로명주소: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354

 지번: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246-4

 

▶대중교통으로 가는 방법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의정부역에서 버스로 50여분 소요

 

▶관람시간

 겨울에 짧아지고 여름에 길어집니다.

  매표시간 관람시간
11月, 12月, 1月 09:00~16:30 09:00~17:30
2月, 3月, 4月, 5月, 9月, 10月 09:00~17:00 09:00~18:00
6月, 7月, 8月 09:00~17:30 09:00~18:30

 

▶관람요금

 만25세~만64세 : 1,000원


'사적 제197호. 남양주 광릉 (南楊州 光陵)'의 재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상세 설명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101970000 )

 

광릉은 조선 7대 대왕인 세조(재위 1455∼1468)와 부인 정희왕후 윤씨(1418∼1483)의 무덤이다.

세조는 세종의 둘째 아들로 형인 문종이 세상을 떠난 후 어린 단종이 왕위에 오르자 계유정란을 일으킨 후에 1455년에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세조는 군제 개편·집현전 폐지 등으로 왕권을 강화하고, 토지제도 정비·서적간행 등 많은 업적을 남기고, 1468년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정희왕후 윤씨는 조선시대 최초로 수렴청정을 시행하였다. 수렴청정은 나이 어린 임금을 대신해서 왕대비가 정치를 대신하는 것으로 당시 성종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므로 정사를 돌보게 된 것이다. 정희왕후는 성종14년(1483)에 세상을 떠났다.

왕의 유언에 따라서 무덤방은 돌방을 만드는 대신 석회다짐으로 막았고, 무덤 둘레에 병풍석을 세우지 못하게 하였다. 돌방과 병석을 없앰으로해서 백성의 고통과 국가에서 쓰는 돈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무덤 주위에는 난간석을 세우고 그 밖으로 문석인·무석인·상석·망주석·호석·양석을 세웠다. 난간석의 기둥에는 십이지신상을 새겼는데 이는 병풍석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는 광릉 밖에 없으며, 글자로 난간석에 표시하거나 나중에는 24방위까지 새겨 넣게 된다.

무덤배치에 있어서도 최초의 동원이강의 형식이다. 지금까지는 왕과 왕비의 무덤을 나란히 두고자 할 때는 고려 현릉·정릉 식의 쌍릉이나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무덤인 영릉의 형식으로 왕과 왕비를 함께 묻는 방법을 취하였으나, 광릉은 두 언덕을 한 정자각으로 묶는 새로운 배치로 후세의 무덤제도에 영향을 끼쳤다.

세종의 구 영릉이 조선 전기 왕릉 제도를 총정리한 것이라 한다면, 광릉은 조선 전기 왕릉 제도의 일대변화를 이룬 조선 왕릉 제도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적 제197호. 남양주 광릉 (南楊州 光陵) 모습

 

홍살문
정자각
세조 능침
정희왕후 능침